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영역에서의 주요 사항은

    영유아 주도 놀이시간(바깥놀이 포함),

    일상생활의 편성 적정성 및 유연한 운영의 탄력적 허용,

    개별 영유아의 신체리듬과 요구 반영,

    정해진 계획 실행보다 영유아의 놀이 몰입우선의 확대 라 할 수 있습니다.

     

     

    1-1 일과의 충실한 운영

     

    [부적절한 수준]

    하루 일과에서 영유아의 실내외 놀이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하루 일과 운영 시간이 언제나 동일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되지 않는다.

    영유아의 비언어적, 언어적 의사표현을 파악하지 못하고, 교사가 임의로 하루 일과를 운영한다. 

     

    [적절한 수준 핵심]

    일과를 오전 9시에서 연장보육까지 산정하여 놀이를 충분히 보장한다.

    등/하원시 영유아와 상호작용을 한다.

    전이활동은 놀이시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연령별 실제 놀이시간이 적절한지 확인한다.

        - 영유아의 요구를 반영한 탄력적 운영

    특별한 사유없는 대체활동은 부적절하다.

    영아반 언어, 비언어 욕구를 확인한다.

        - 기저귀갈이, 놀이시간 연장요구 반영

    영유아의 비언적 표현에 반응한다.

    등원, 배식, 화장실 관련 상호작용을 한다.

    낮잠 종료시 영유아와 상호작용을 한다.

     

    1-2 따뜻하고 편안한 일상생활 지원

     

    [부적절한 수준]

     영유아가 등원하였는지 관심이 없거나 영유아의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하원 시에는 영유아의 하원 준비를 재촉한다.

     식사와 간식 시간에 음식을 강요하거나, 남지기 않게 하거나, 지나치게 조용히 먹게 하거나, 식사예절을 강요하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시간에 맞추어 먹도록 재촉하고 위협한다.

     개별 영유아의 요구에 따라 화장실 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화장실 가는 시간을 정하여 화장실을 가도록 강요 한다. 또는 배변 처리 시 영유아에게 불쾌함을 표현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한다.

    정해진 시간을 지켜서 휴식(낮잠)하기, 개별 영유아의 요구와 상관없이 휴식(낮잠)을 강제하기 등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영유아의 흑식(낮잠) 시간을 운영한다.

    영유아에게 적용되는 약속과 규칙을 교사가 임의로 결정하거나, 일관되지 않게 적용한다.

     

    [적절한 수준 핵심]

     등원 맞이 중 등원한 영유아를 지원한다.

     배식과정 주요사항을 준수하여 지원한다.

        (식사, 간식시간 서두르지 않고 편안하고 즐겁게 먹을 수 있도록~~)

     배변 및 기저귀 갈이 , 유아 화장실 긍정적 지원한다.

     낮잠을 안자는 영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 조용한 놀이, 휴식

     낮잠이 길어지는 영유아 지원한다.

       - 낮잠 종료 시 영유아 상호작용

     영아반 언어, 비언어 욕구를 확인한다.

        - 기저귀갈이, 놀이시간 연장요구 반영

    일방적인 약속, 규칙 강요를 하지 않는다.

        - 놀이시간 연장 요구의 적극반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