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생공부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manybara 2025. 3. 18. 17:28

목차



    반응형

    교사와 영아가 놀이 친구로서 상호작용 하며 영유아가 주도하는 상황교사가 안정된 분위기를 형성하고 놀이에 참여한다.놀이가 확장되도록 지원한다.

    1. 존중(respectful) - 아이의 감정과 행동을 인정하는 대화

    아이의 감정과 의사 표현을 존중하고, 독립성을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영유아를 인격체로 인정하는 것.

     

    영유아의 개별적 요구에 반응/ 눈높이에 맞는 상호작용/ 영유아와 적절한 언어 상호작용/ 반응이 느린아이 격려/ 부정적 평가 자제/ 존중훈육 실천(영유아를 통제하거나 제지해야하는 상황에서는 영유아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간결하고 명료하게 구체적 행동을 안내한다)

     

    대화 방법

    감정 명확히 표현하기

    “○○야, 네가 장난감을 더 가지고 놀고 싶어서 속상한 거구나.”

    “기분이 나빠 보이네, 어떤 일이 있었어?”

    선택권과 자율성 주기

    “이제 기저귀 갈 시간이야. 네가 직접 올라올래? 아니면 선생님이 도와줄까?” “이 장난감이 좋아? 저 장난감이 좋아?”

    아기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기

    “○○가 블록을 던졌네. 블록이 떨어지는 걸 보고 싶었던 거야?” “물 마시고 싶었구나. 다음엔 ‘물 주세요’라고 말해볼까?”

    2. 반응(responsive) - 아이의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화

     

     

     

     

    아기가 보내는 신호(말, 표정, 몸짓 등)에 즉각적이고 따뜻하게 반응하면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요.

    민감하고 신속한 행위로 낮은 시지와 수용적으로 주고 받는 반응으로 영유아의 신호를 해석하여 언어, 비언적 반응을 합니다. 영유아의 말, 행동, 생각, 감정등을 지지하며 돕습니다.

    대화 방법

    아기의 몸짓이나 소리에 반응하기

    (아기가 손을 뻗으면) “이거를 원하구나! 여기 있어.” (아기가 옹알이면) “어, 그래? 그랬구나! 더 이야기해 줄래?”

    기다려 주기

    (아기가 말하려고 하면) “천천히 말해도 괜찮아. 선생님이 기다릴게.” (아기가 행동하려고 하면) “스스로 해보는 거야? 잘할 수 있어!”

    아기의 시선과 관심사에 맞춰 반응하기

    (아기가 창밖을 보면) “밖에 뭐가 있니? 새가 날아가네!” (아기가 그림책을 가리키면) “여기 강아지가 있네! 강아지가 뭐하고 있어?”

    3. 상호(reciprocal) - 주고받는 대화로 사회적 기술 기르기

    아기가 단순히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 속에서 주고받는 경험을 통해 사회적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해요.

    교사와 영아가 놀이 친구로서 상호작용 하며 영유아가 주도하는 상황으로 교사가 안정된 분위기를 형성하고 놀이에 참여합니다. 놀이가 확장되도록 지원합니다.

    대화 방법

    대화의 흐름 유지하기

    “네가 공을 굴렸네! 선생님도 굴려볼게. 자, 다시 네 차례야!” “네가 좋아하는 노래네! 같이 불러볼까?”

    질문하고 답 듣기

    “이 그림책에서 뭐가 가장 좋아?” “이 블록은 어디에 놓으면 좋을까?”

    역할 놀이 활용하기

    “선생님이 손님할게, ○○가 가게 주인 할래?” “아기 인형이 배고픈가 봐. 우리가 밥을 줄까?”

     

    관찰하기>> 영유아의 말과 행동을 그대로 읽어주거나 따라하기>> 사회적 기술을 위한 대화 활용하기

     

    🌟 요약하면?

    ✔ 존중: 아이의 감정과 선택을 인정해 주기

    ✔ 반응: 아기의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해 주기

    ✔ 상호작용: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사회적 기술 길러주기

     

    이렇게 하면 아이들이 안정감을 느끼고, 사회적 기술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