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공부/자기계발&자기개발17 자기 관리 프로세스 5단계-비전 및 목표 정립 자기개발은 피라미드 구조로 볼 때 가장 아랫부분에 자아인식이 위치하고 그 위에 자기 관리가 놓이게 된다. 이는 자아인식이 있어야 자기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자아인식 없는 자기 관리는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이 기초가 부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관리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아인식에 기반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개인의 행동과 업무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것이다. 자기 관리능력은 자기 관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자기 관리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5가지 단계가 필요하다. 5단계는 피라미드 구조를 떠올려 순서와 위계를 가진다. 자기 관리는 개인의 가치를 기초로 한 비전과 목표를 세우고, 분석을 통해 역할별 과제를 발견하며, 이에 맞춰 세부 일정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절차로 이뤄진다. 또.. 2023. 10. 19. 자아 인식의 방법- 강점 발견 강점을 말할 때 일반적으로 남들보다 잘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지만 강점은 남과 비교를 통해서 얻는 것이 아닌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해 찾을 수 있는 내면의 보석이라 할 수 있다. 1. 강점의 이해 내가 진정 잘할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은 무엇인가? 진정한 자기개발은 세상이 정의하는 내가 아닌, 내가 정의하는 나를 찾는 과정이다. 자아인식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진정한 강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공적인 자기개발을 위한 핵심요소다. 자아인식과 내면의 강점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혼자가 되어 보는 것'이다. 2. 강점 발견의 방법 '고독을 견뎌내지 못하는 사람은 그 자신을 잧ㅈ을 없을 것이다. 혼자 있을 때 너는 완전한 너이고, 다른 이와 있을 때의 너는 절반의 너다'라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말하고 있다... 2023. 10. 17. 자아 인식의 방법2 - 표준화 된 심리 검사 도구의 활용 자아인식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이를 보완하여 객관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표준화된 심리검사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1. 표준화된 심리검사 도구의 활용 표준화된 심리검사 도구는 객관적으로 자아의 특성을 타인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실제로도 다양한 용도의 심리검사 도구가 자아에 대한 특성뿐 아니라 진로 선택과 의사결정방식에 있어서까지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것은 자신에게 맞춰 자기개발 방법을 선택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심리검사는 진단과 같아서 몸이 불편하여 병원에 가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진단하는 것으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처방을 위한 선행 작업이 된다. 표준화된 심리검사는 .. 2023. 10. 16. 자아 인식의 방법 1 - 자기 성찰 1. 자기 성찰 1. 자기 성찰의 의미 자아 인식을 위한 대표적 방법은 자기 성찰로 자기 스스로를 반성하고 살피는 것을 말한다. 성찰은 단순한 반성을 넘어 자신이 한 일을 깊이 되돌아보는 것이며 자신이 과거에 했던 일을 살펴보면서 자신의 선택과 행동을 살피고 그 안에서 진정한 나의 모습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자기 성찰은 바둑의 복기와 같다. '복기'란 바둑에서 ㅎ나번 둔 대국을 비평하기 위해서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아 보는 행위이다. 모든 프로 바둑 기사는 본인의 경기에 대한 복기를 한다.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는 습관을 만들어 주고, 패배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는 준비를 만들어 준다"는 말처럼 남은 경기를 이기고자 한다면 복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다. 제대로 자아인식을 하기 위해서 자기 .. 2023. 10. 1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