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어린이집 경력교사로서 영유아의 발달을 객관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관찰 기록을 작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업무입니다. 효과적인 관찰 기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관찰 기록의 기본 원칙
◆ 객관적인 사실 중심으로 작성
감정이 개입되지 않도록 객관적인 표현 사용 . 어떤 행동이 나타났는지 구체적인 기록을 한다.
× "기분이 좋아 보였다." → ○ "웃으며 손뼉을 쳤다."
× "슬픈 것 같았다." → ○ "눈물을 흘리며 조용히 있었다."
◆ 시간과 상황기록
날짜 및 시간을 작성하여 행동이 발생한 시간과 환경을 기록하여 행동패턴을 찾는다.
자유놀이 중, 실외활동 전, 점심시간 후 양치 시간 등
◆ 장소
환경적인 요인(실내, 실외, 조용한 곳, 시끄러운 곳, 휴식영역 등)
보육실에서 친구들과 함께 놀이 중
◆ 상황 및 맥락
특정 친구와 있을 때만 일어나는지? 낯선 사람과 있을 때 발생하는지?
00이가 블록을 먼저 잡았을 때, 00이가 들고 있는 블록을 가져갔을 때 등
× "다른 친구의 장난감을 빼앗았다." → ○ "친구의 장난감에 관심을 보이며 손을 뻗었다."
◆ 결과 및 분석
또래가 어떻게 반응했는지 기록하여 행동이 강화되는지 확인, 교사는 어떻게 반응했는지 기록
교사가 블록을 돌려주고, 아이가 다시 놀이를 계속함 등.
2. 객관적 관찰을 위한 문제행동 관찰 기록
1. 빈도: 얼마나 '자주'
오전 활동 중 3번 소리 지름. 1시간 동안 5번 친구를 밀침
2. 강도: 얼마나 '세게'
※ 빈도와 강도를 반복하여 기록하다 보면 영유아의 행동이 예측 가능하다.
등원시간마다 떼를 부린다. → 행동이 특정시간에 자주 발생
바깥놀이 시간에 공격적이다 → 특정활동 장소에서 자주 발생
기분 및 컨디션에 따라, 특정 활동을 할 때, 당황스러울 때 등으로 기록한다.
사례 1: 자유놀이 시간 중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관찰 기록 (객관적인 표현)
2025년 3월 7일 오전 10시 30분, 실내놀이 영역에서 블록 놀이를 하던 ○○(3세)는 친구 △△가 만든 블록 탑을 바라보며 "우와, 멋있다!"라고 말했다. 이후 △△에게 다가가 "나도 같이 해도 돼?"라고 물으며 블록을 쌓기 시작했다.
사례 2: 문제 행동 개선을 위한 기록 (공격성 행동 관찰)
관찰 기록 (긍정적인 시각 유지)
2025년 3월 7일 오후 2시 15분, 바깥 놀이 시간. ○○(4세)는 친구 △△가 타던 세발자전거를 바라보며 다가가 손을 뻗었다. △△가 계속 타고 있자 ○○는 손으로 핸들을 잡고 "나도 할래"라고 말했다. 교사가 다가가 "차례로 사용하자"고 안내하자, ○○는 잠시 망설였지만 옆에서 기다렸다가 다음 차례에 자전거를 탔다.
➡ "자전거를 빼앗으려 했다"는 표현 대신, 아이의 의도를 고려하여 행동을 설명
3. 효과적인 관찰 기록 작성
🌟 사진/영상 활용 : 필요 시 사진과 함께 기록하면 더 효과적
🌟 연속 기록 유지 : 한 번의 기록으로 판단하지 말고, 지속적인 관찰 필요
🌟 피드백 반영 : 부모 및 동료 교사와 공유해 다각적으로 접근 관찰 기록을 잘 활용하면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평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1) | 2025.03.18 |
---|---|
신학기 부모와의 소통 (0) | 2025.03.11 |
느린 기질의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방법 (0) | 2025.03.07 |
까다로운 기질의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방법 (0) | 2025.03.06 |
아이의 발달 이해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