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집마다 역할영역에 보면 영아들이 가정에서나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이 요리와 관련된 것들이다. 음식이나 먹고 마시는 것들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것들이고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할영역에는 늘 빠지지 않고 제시되는 것들이 요리활동과 관련된 교구이며 이것들을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다. 1. 목적요리활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손 씻기, 주변 정리 정돈하기 등을 통해 기본생활습관을 익힐 수 있고, 음식을 만드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시각, 촉각, 후각에 대한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음식 재료 썰기, 반죽 누르기, 끼우기 등의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눈과 손의 협응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요리활동과 연계되는 사후활동을 통해 다양한 영역에..

코메니우스(Comenius,1592~1670) - 대교수학 1. 생애와 활동 보헤미아(지금의 체코)에서 출생하여 대학에서 신학과 철학공부를 하였다. 라틴어 학교의 교사로 재직하고, 동포교단의 목사로 임명되었습니다. 30세 에서 43세에 김나지움 교사와 교장으로 봉직하다가 스웨덴에서 교육개혁에 종사, 1650년 학교설립 후 학교개혁 운동전개 하였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언어입문』(1631): 라틴어 학습을 위한 교과서, 『대교수학』(1632):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교육학 서적,『세계도 회』(1658): 학교용 도서로서 그림이 들어간 최초의 책을 발간하였습니다. 코메니우스는 17세기 실학주의적 교육사상을 교육이론으로 구체화시켜 실천에 옮긴 대표적 인물이자 근대교육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과학적 교수방법 주장..

유아기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경험에 대한 비슷한 논문 비교분석 하기 제 목 그림책 읽기 과정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 양상 저자 : 윤혜경 ( Yoon Hyekyung ) 이경민 ( Lee Kyungmi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37권 4호 발행 연도 :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경험과 의미 저자 : 노진형 ( Noh Jin Hyeong ) 박순선 ( Park Soon Sun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36권 4호 발행 연도 : 2016연구목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관점에서 드러나는 그림책 읽기 경험양상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함께 읽기를 통해 어떠한 ..

효과적인 경력 개발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델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다. 특히, 그린하우스(Greenhaus), 칼라난(Callanan), 고드샥(Godshak)의 경력관리 모델은 개인 차원의 경력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경력 개발 방법을 알아보자. 경력 개발 방법의 순서 1. 경력 탐색 경력 개발의 첫 번째 단계는 자기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개인이 현재 수행 중인 직무 및 향후 진로에 대한 경로를 탐색하고, 비슷한 분야의 롤 모델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직업 관련 정보, 조직 관련 정보, 기술, 가치, 선호에 대한 탐색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2. 자기와 환경 인식 성공적인 경력 개발은 환경의 기회와 제약..

1. 경력의 개념 경력은 개인의 직업 생활에서 얻은 경험과 업무 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개념으로, 특히 특정 전문 분야나 직종에서의 경험이 강조된다. 이 경험은 개인의 성장과 전문적인 발전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로 특정 영역에서의 전문성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창의성, 리더십의 발전 등을 경험을 통해 쌓아나가는 과정인다. 각 경험이 개인의 업무 능력과 직무 수행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작용한다.2. 경력개발의 이해경력개발은 개인이 직업적 또는 전문적 역량과 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의지를 가지고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 자신과 속한 상황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경력 계획으로 수행하고 결과를 피드백한다. 주체는 주로 개인이지만, 조직이나 기관에..

기관의 아이들이 모두 다른 특성을 가졌듯이 그 아이들의 부모님들도 모두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교사의 학급운영에 대해 시각과 의견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다양한 부모의 유형이 이해됩니다. 상황에 따른 대처를 잘하여 학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 비협조적인 부모① 기관의 행사나 아동 교육에 비협조적인 부모의 경우 껄끄럽게 느껴지더라도 만나는 횟수를 늘리고 기관의 교육 방침과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표, 근거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이해를 구하는 것이 좋다.② 비협조적이라고 거리를 두면 문제는 더 악화된다.③ 올바른 상담법◉ 자주 만난다.◉ 교육 목표와 방침, 프로그램의 내용, 목표, 근거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이해를 구한다.◉ 빠른 시간 안에 공감..